RPC-666
Badge-Contest-2.png대회 준우승작

1

us.png
rpc-666

관리국 대응 전력과 교전중인 RPC-666

gamma-purple.png

등록 번호: 666

객체 등급: 감마-자색

위험 종류: 공격성 위험, 탄도학적 위험, 기계적 위험, 재생성 위험, 지적 위험, 극한 온도 위험, 폭발성 위험

격리 규약: RPC-666은 그 출현 시간 및 장소의 불규칙성 때문에 현재 격리되어 있지 않다. RPC-666 출현의 대응에 집중하기 위하여, UNAAC1의 허가 아래 관리국 인원을 아프리카 고 분쟁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평화유지군에 포함한다.

ASF2, 나이지리아 DIA3, 남아공 SSA4, 그리고 PCAAO5간 합동 감시 계획이 수립되었다. MST 줄루-45 "후미 여과기(Backwater Filter)"의 분견대와 PCAAO "모래뱀" 특공대가 RPC-666을 무력화하기 위한 신속 대응 부대를 편성하여 현재까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.


미처리 무력화 지시: 1987년 5월 14일 - 현재
관할: ASF 아프리카 사령부 █████ Stebbits 사령관
현 초점: 보코 하람(Boko Haram) 무력 분쟁 (나이지리아), 리비아 내전, 남수단 무력 분쟁


설명: RPC-666은 변칙특성을 보이는 Mi-24, NATO 코드명 "하인드(Hind-A)" 공격용 헬리콥터이다. 해당 Mi-24 개조형은 소련과 러시아에 의해 여러 대가 제작되었다. RPC-666을 일반적인 Mi-24와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기준은 동체를 덮고 있는 마른 혈액, 그리고 랜딩 기어 및 무기 하드 포인트에 전선으로 걸려 있는 시체들이다. 시체는 변칙성을 띠지 않으나, 출현할 때마다 그 수가 4에서 17 사이로 변동적이다. RPC-666을 공격하여 분리 및 회수한 일부 시체를 조사한 결과, 이들은 RPC-666 출현의 희생자임이 드러났다.

RPC-666의 출현에 오직 정적인 기준은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진행 중인 무력 분쟁 도중 출현한다는 것이다. 이러한 분쟁 도중 RPC-666은 마을, 대피 행렬, 또는 난민 캠프 등 민간인 집단 위에 출현하여, 초기 Mi-24 개조형에 달린 로켓과 기총으로 이들을 공격한다. RPC-666은 공격이 끝나고 사라진 후 알 수 없는 방법으로 로켓을 재장착하고 다시 출현한다. 공격 도중 모든 로켓을 소진하면, RPC-666은 기수에 달린 Afanasev A. 12-7 기관총으로 무장을 전환하여 공격한다. 해당 기관총은 탄약의 소진이 목격된 적이 없다.

또한 RPC-666은 공격 도중 명백한 변칙적 현상을 발생시킨다. 출현 직전에 지역의 기온은 섭씨 영하 2도까지 급격하게 떨어지며, 그 후 공격이 길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섭씨 49-67도까지 올라간다. 추가로, RPC-666이 ██명 이상의 사상자를 낼 경우, 가벼운 강우가 내리기 시작한다.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, 강우는 염분을 포함하며 온도는 끓는점임이 밝혀졌다.

UNAAC는 RPC-666의 통상적인 출현의 예시로서 한 평화유지군 소속 프랑스인의 출판되지 않은 회고록을 관리국에 제공하였다.

다른 통상적인 Mi-24가 민간인을 사살하는 사례가 수도 없이 많기에, RPC-666의 기원은 추적하기 힘들다. 심지어 몇몇 기록된 사례 중에는 시체를 달아놓은 민병대 소속 헬리콥터도 있었다. RPC-666의 출현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특징인 기온과 기상의 변화는, 일반적인 공습을 감정적이고 선정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놓치기도 한다.

다음 부록은 실제 RPC-666의 출현에 대한 설명이다. 기온의 변화 및 그로 인해 초래된 강우에 관한 내용에 주목한다. 해당 발췌본은 기니-라이베리아 국경에서 압류된 물품 중 한 일기에서 발견되었다.

무력화 시도 현황:

1987년 5월 14일, 다수의 ASF 격리 시도가 실패한 이후, RPC-666의 무력화 지시가 승인되었다. 해당 무력화 시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현재까지 유효하다.

  • RPC-666이 직접적으로 유발한 막대한 인명 피해.
  • RPC-666의 공격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과 평화 교란.
  • 정해지지 않은 공격 양식.
  • 제압, 살상 저지가 극도로 어려움.
  • 추가 연구를 위한 RPC-666의 저지 및 포획이 어려움.
  • 아프리카 사령부에 가해지는 자원 부담. 특히 적색-자색 격리부에 부담 심각.

2004년 7월 9일:

아프리카 낙후 지역의 당장 가용할 수 있는 화력의 제한으로 인해 지난 10년간 무력화 시도가 실패한 이후, PCAAO의 한 청두(Chengdu) F-77 전투기가 처음으로 RPC-666을 공대공 미사일로 타격하는 데 성공하였다. RPC-666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지만, 비행은 가능한 상태로 관리국 지상 병력에 몇 킬로미터 정도 추격당하였다. 기온은 섭씨 영하 31도까지 기록되었다. 이는 관리국 차량의 중지 및 오작동을 유발하였으며, RPC-666은 탈출하는 데 성공하였다.

MST 줄루-45 "후미 여과기"는 해당 교전을 토대로 전술을 수정하였다. 추가로 분견대의 모든 초기 대응 차량은 극지 작전형으로 대체되었다.

2009년 9월 23일

상술한 사건 이후 3년간 RPC-666의 출현에 대한 그 어떠한 보고도 없었다. 2007년 2차 투아레그 반란 도중 불확실한 RPC-666의 출현이 보고되었고, 2009년 보코 하람 반란 개전 당시 확실한 출현이 목격되었다. 무력화 시도는 진행 중이다.

2010년 1월 14일

한 보도사진가의 고해상도 기록을 통해 RPC-666 구조의 중대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. 해당 변화는 2004년 7월 9일 교전에서 입은 피해의 결과로 보인다. 조종석 2m 뒤에 있었던, Mi-24의 조수석 문의 반 정도에 달하는 상당한 크기의 구멍은 살점과 융합된 뼈로 채워져있었다. 구조물로부터 뻗어나온 몇 십 개의 잘린 손이 구멍의 테두리를 붙들고 있었다.

RPC-666 위험 종류에 재생성이 추가되었다.

« RPC-665 | RPC-666 | RPC-667 »

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에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다음의 라이선스를 따릅니다: Creative Commons Attribution-ShareAlike 3.0 License